이번 포스트에서는 대명동사와 일치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. 대명동사란 주로 원형이 'se + 동사'의 형태를 띄게 된다. 주로 동사의 주어 '자신에게 ~하다'라는 의미이거나, 주어가 복수인 경우 '서로에게 ~하다'라는 의미가 된다. 여기서 일치란 se에 해당하는 목적어의 성수에 맞춰 과거 분사를 일치시키는 것을 의미한다. 1. 일치하는 경우 1) 과거 분사가 동사의 주어와 일치한다. (주어가 자기 자신에게 행동을 할 때) 예. Ils se sont aperçus de leur erreur. / Ils se sont lavés. / Ils se sont battus. 2) 과거 분사가 직접목적보어의 성/수에 일치한다 (직접목적보어가 동사의 앞에 동사 앞에 올 때, 조동사 avoir의 경우와 같은 법칙) ..
앞선 포스트에서 관계대명사의 일반적인 사항들에 대해 정리해 보았다. 이번 포스트에서는 일치와 그외 주의할 점에 대해 알아보겠다. 1. 일치 Vois-tu ces oiseaux qui volent côte à côte? 복수 주어와 동사 일치 L'amie que j'ai reçue vient de Nouvelle Calédonie. 직접 목적 보어와 과거 분서 일치 Les amies qu'il a reçues viennent de Nouvelle Calédonie. que가 모음 앞에서 축약 2. 주의 1) Où - 등위 접속사 'ou'와 혼동하지 말 것, 'ou bien'을 나타내는 것: Thé ou Café? - 관계대명사 Où는 항상 선행사가 있음 (qui는 사물): On aperçoit le vil..
- Total
- Today
- Yesterday
- 관사
- pronoms toniques
- 프랑스
- French
- 대명동사
- grammar
- de 인지 des 인지
- 프랑스 스타트업
- 시험
- Startup
- 불어
- 문법
- 부정관사
- 발음
- 대명사
- de ou des
- flex
- Pronoms Démonstratifs
- 삼성전자
- français
- 일치
- 직접목적보어
- marketing moment
- liaison
- 조건법
- 관계 대명사
- 프랑스어
- 스타트업
- La French Tech
- 지시대명사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